본문 바로가기
Project/Spring

[Spring MVC] 톰캣 포트 설정하기 (feat. 404, 유효하지 않은 셧다운 등...)

by @sseyeon_ 2021. 1. 30.
반응형

톰캣때매 정말 ,,, 

학원 다닐 때는 안되면 무조건 노트북 들고 쌤 찾아갔는데 지금은 ^^.....

그러지 못해서 열심히 뚝딱거리는 중이다 😊

 

 

서버 연동이 세상ㅇㅔ서 제일 어렵다.

맨날 난 에러 폭탄이거든 !!

그래도 어찌저찌 잘 띄웠답니다 ㅎㅎ

 

 

우선 주로 난 에러는 페이지가 작동하지 않습니다. 였다.

localhost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없습니다. 라며 ....

 

그다음으로는 socket io exception 연결 실패, 아니면 localhost에서 거부 당하기, 404 not found 등등

 

 

 

해결방법은 

① 우선 Servers에서의 서버가 본 프로젝트의 것이 맞는지 재확인

 

   바보멍청이같지만 해당 프로젝트에 서버를 연결을 하지 않았다.

   계속 안돼서 프로젝트를 지우고 만들고 지우고 만들고 하다가 제일 중요한걸 놓쳤지 뭐예요 ^0^

 

 

Server > 우클릭 > new > server 에서

 

본인 톰캣에 맞게 설정 후 next> 

 

왼쪽에 있는 프로젝트를 오른쪽으로 옮겨주세요 ~!

 

지속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셧다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이 때문이었던 것 같다.

 

 

 

② 톰캣 포트 변경하기

여기서 이제 servers 위의 run server를 해서 작동이 잘 된다면 다행이지만,

또 안되면(여기서는 주로 404 에러가 나더라) 톰캣 포트 번호를 확인하자!

 

나같은 경우는 20번째줄 port가 -1로 설정되어 있었다. 

이를 8005로 바꾸어주고 실행해보자!

 

잘 실행되면 다행이지만 ~ 

난 커넥터의 8080 포트가 항상 점유되어 있는 상태이기에 

(jsp 할 때 잘못 만져놓고 잊어버린건지 뭔지 ......)

 

같은 페이지의 63번 라인, Connector port 번호를 8081로 바꾸어주었다. 

 

 

 

그 후 http://localhost:8081/board/ 로 접속하니 정상 동작 !!

 

 

약 한시간 반 가량의 삽질 후 ...

다들 나같은 고민 않길 바라며 이 글을 바칩니ㄷ ㅏ... 🌹

반응형